기마인물형토기. 도제기마인물상
Museum art&doll
솔결박물관

필링박스가 소장하고 있는 한국 고미술품과 세계 각국 인형 전시관 ⓒ 필링박스
전시 대여를 원하시거나 기타 문의가 있을 경우 '문의 게시판'으로 연락하세요.
분 류 고미술품
ㆍ추천: 10  ㆍ조회: 4492  
기마인물형토기. 도제기마인물상
 

갑옷 입은 무사가 말을 타고 있는 신라시대 ‘기마인물형토기(騎馬人物型土器)’입니다.
‘도제기마인물상(陶製騎馬人物像)’이라고도 합니다.


 

이 기마인물형토기는 여러 면에서 국보 91호 기마인물형토기와 흡사합니다.
말의 형태와 여러 장식이 그렇고 크기도 비슷합니다.
익살스런 말 대가리와 째진 눈, 쫑긋 솟은 귀와 치솟은 말꼬리, 통통한 다리가 많이 닮았습니다. 

또한 인물의 경우 어깨 위로 갑옷을 걸쳐 두르고, 다리에 갑옷을 입었으며,
허리띠를 하고 있고, 앞코가 뾰족한 신발을 신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무사 얼굴이 편두(偏頭)에 뾰족한 코를 하고 있고,
머리에 고깔 모양 모자를 쓴 것도 공통적입니다.
차이가 있다면 이 토기의 인물이 좀 더 무사적인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는 점입니다.
허리에 단도를 차고 있고, 어깨 위 갑옷이 더 튼튼하게 보이는 게 그렇습니다.

 

한편 이 토기는 속이 비어 있어서 물을 넣고 따를 수 있는 주전자이기도 합니다.
말의 궁둥이 위에 있는 그릇 모양의 수구(受口)로 물을 넣은 다음
앞으로 기울여 가슴에 있는 주구(注口 대롱)로 물을 내보낼 수 있습니다.
말을 저승으로 가는 교통수단이자 갈증을 해소해주는 주전자 역할로 겸하게 한 듯싶습니다.
 
 

 


높이 22.5cm, 길이 27cm, 너비 10cm

 

 




*비교 유물 : 기마인물형토기_국보91호(국립중앙박물관) 주인과 하인
 
     

솔결박물관의 사진 및 글에 관한 저작권은 필링박스에게 있습니다. Ⓒ 필링박스

     
백자청화포도문호 청화백자포도문항아리
청자퇴화연꽃동자문광구병 동자연화문 고려청자
회령유초화문과형주자. 대단히 이색적인 고려청자
백자무문편병. 순백자편병. 백자납작병
분청사기퇴화화문편병. 조선 초기 꽃무늬편병
백자청화매화문호. 청화백자매화무늬항아리
분청사기철화화문주자(粉靑沙器鐵畵花紋注子)
청자상감포도문표형병 포도무늬호리병 고려청자
백자청화칠보운학문대접. 청화백자두루미구름무늬
백자청화쌍룡문금채대발. 용무늬큰그릇. 백자청화운룡문대접
청자양각연화형주자 연꽃모양고려청자
백자오채추상문사발. 파격적인 채색백자. 독창적 조선 백자
백자청화화문소병. 유병 혹은 필가. 청화백자
녹청자사자장식향로. 신라시대 사자상대형향로
녹청자사자형상문진. 고려시대 녹청자사자인형
백자소모양연적. 백자우형연적
청자쌍룡모양촛대 고려청자촛대
청자상감진사화문꽃모양사발
청자상감화충문신발 고려청자 꽃신
청자상감진사조화문덮개 고려청자동화조화문덮개
민화 까치 호랑이. 작호도(鵲虎圖) 호작도(虎鵲圖)
풍속화 대결(風俗畵 對決)
청동쌍용. 조선시대 쌍룡(雙龍)
청동 주칠 양각 화조문 팔각 거울
청동범종. 고려범종
한석봉 친필 서첩(石峯 韓濩 親筆 書帖)
해치수본(獬豸繡本) 해태 목판화
목각화조박쥐문찻통. 조선시대 다구. 나무차통
1234